본문 바로가기

자연 및 역사.문화 탐방

양동마을 탐방

2013년 6월 15일 감은사지를 구경하고 곧바로 양동마을로 갔다.평소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이 마을을 한번 가봤으면 하는 생각을했었다.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2010731일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유네스코는 등재 결의안에서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은 주거 건축물과, 정자, 정사(精舍 : 학문과 휴식의 공간), 서원 등의 전통 건축물들의 조화와 그 배치 방법 및 전통적 주거문화가 조선시대의 사회 구조와 독특한 유교적 양반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이 오랜 세월 동안 온전하게 지속되고 있는 점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양동마을은 씨족마을로 사돈 관계에 있는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의 양대 가문이 거주하여 오면서 대외적으로는 서로 협력하고, 내부적으로는 서로 대립과 경쟁이 끊이지 않았으리라 생각해 본다. 담아온 사진을 보시지요. 

 양동초등학교의 고풍스러운 정문 모습

 이명박 대통령의 기념비석

 마을 입구의 연꽃단지에서 본 풍경

 

 정충각

 정충각과 나란히 있는 노비의 비각 충노각)

 관가정 아래의 풍경 (열심히 살고 있는 어느 가옥을 지나치면서).

 관가정 근처에서 바라본 양동마을의 앞산 성주산 모습

잘 관리되고 있는 정겨운 고향집

 

 

관가정 (觀稼亭) 보물 제442】 --조선 중종 때 관리이며 청백리로 이름 높았던 우재 손중돈의 옛집이다. 관가정은 손중돈이 원래의 종가인 서백당에서 태어나 장성한 후 분가하여 지은 집으로 서백당이 세워진 1458년 보다 한 세대 뒤인 1480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손중돈은 차남이었지만 맏형이 결혼 후 마을을 떠남으로서 장손의 역활을 해야했다. 손중돈이 관가정으로 분가한 후 관가정은 손씨 대종가로서 역활이 시작되었고 그 후 400여년 동안 손씨종택이었다. 지난 20세기 초에 원래의 서백당으로 대종가는 옮겨가고 관가정은 손씨 일가의 별장으로 쓰였으나 현재에는 빈채로 관리하고 있다고함.

 관가정의 역사를 간직한 향나무 모습

 관가정 입구에서

 관가정의 아래  평화롭게 보이는 초갓집 모습

 어느 초갓집에 보이는  30∼40년전의 TV안테나 모습

 

 향단에는 대문이 잠겨있었음

 문이 잠겨 들어가지 못하고 담장 너머로 한 컷

 향단 (香檀) 보물 제412】 --향단은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회재 이언적이 병든 모친을 핑계로 벼슬을 사양하자 중종이 그를 경상감사로 임명하면서 모친의 병간호를 하도록 지어준 집이다. 이언적은 1540년에 이 집을 지어, 벼슬을 마다하고 평생 노모를 모시고 집안을 꾸려 형의 출사를 도운 동생 이언괄에게 선물하였다고 한다. 향단은 원래 99칸이었으나 화재로 불타 없어지고 현재 51칸만 남아있다.

 전통한과와 민박을 알리는 안내판

  전통한과와 민박을 알리는 안내판

 양동마을을 지키는 어느 가옥의 할머니 모습(건강하세요)

 

 서백당 (書百堂) 중요민속자료 제23】 -- 서백당은 양동 마을에서 가장 유서 깊은 건물이며, 양동마을의 모든 건물의 시작점이다. 이곳은 양민공 손소 선생이 지은 건물로 월성 손씨의 종택이다. 손소의 아들 우제 손중돈 선생과 외손자 회재 이언적 선생 두분 모두 이집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서백당의 500년이상의 향나무

 다정함을 느끼게하는 맷돌과 우물

 

 다정한 민속갤러리도 만날 수 있음.

 

무첨당(無添堂 보물411)

회재 이언적 선생의 부친인 이번(李蕃)공이 살던 집으로 1460년경에 지은 여강 이씨의 종가집인데, 별당의 기능을 중요시한 간결하고 세련된 솜씨의 주택이다. 무첨당(無添堂)은 이언적 선새의 다섯 손자 중 맏손자인 이의윤공의 호이며 조상에게 욕됨이 없게 한다는 뜻이라고함

 

 심수정 모습.

 

◈참고 하세요

구분

명칭

시대

지정일

비고

국보 283

통감속편(通鑑續編)

조선

1995.03.10

월성 손씨

보물 411

무첨당(無忝堂)

조선

1964.11.14

여강 이씨

보물 제412

향단(香壇)

조선

1964.11.14

여강 이씨

보물 제442

관가정(觀嫁亭)

조선

1966.04.11

월성 손씨

보물 제1216

손소 초상(孫昭肖像)

조선

1995.03.10

월성 손씨

중요민속자료 제23

서백당(書百堂)

조선

1970.12.29

월성 손씨

중요민속자료 제73

낙선당(樂善堂)

미상

1979.01.26

월성 손씨

중요민속자료 제74

사호당(沙湖堂)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중요민속자료 제75

상춘헌(賞春軒)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중요민속자료 제76

근암고택(謹庵古宅)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중요민속자료 제77

두곡고택(杜谷古宅)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중요민속자료 제78

수졸당(守拙堂)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중요민속자료 제79

이향정(二香亭)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중요민속자료 제80

수운정(水雲亭)

조선

1979.01.26

월성 손씨

중요민속자료 제81

심수정(心水亭)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중요민속자료 제82

안락정(安樂亭)

조선

1979.01.26

월성 손씨

중요민속자료 제83

강학당(講學堂)

조선

1979.01.26

여강 이씨

경북도유형문화재제13

적개공신논상록권(敵愾功臣論賞錄券)

조선

1972.12.29

월성 손씨

경북도유형문화재제14

손소 선생 분재기(孫昭先生分財記)

조선

1972.12.29

월성 손씨

경북도기념물 제8

양동의 향나무

조선

1974.12.10

월성 손씨

경북도민속자료제34

대성헌(對聖軒)

조선

1982.02.24

여강 이씨

경북도문화재자료제261

손종로 정충비각(孫宗老旌忠碑閣)

조선

1992.07.18

월성 손씨

'자연 및 역사.문화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장암과 금수암탐방  (0) 2013.06.26
안양암과 서축암 탐방  (0) 2013.06.24
감은사지를 둘러보고  (0) 2013.06.21
이견대(利見臺)탐방  (0) 2013.06.20
문무왕 수중왕릉 탐방   (0) 201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