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및 역사.문화 탐방

화순의 운주사를 둘러보고

2023년 9월 6일 일행과 함께 전남 화순 운주사를 둘러보았다.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千佛山(또는 靈龜山) 기슭에 있는 운주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 말사이다.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풍수지리에 근거하여 비보裨補사찰로 세웠다는 설이 가장 널리 전한다. 이곳의 지형이 배 모양이어서 새로운 세상을 염원하며 하루 낮밤 동안 천불천탑을 세웠다고 한다. 그런데 맨 마지막 불상인  ‘부부와불’을 일으켜 세우려 할 때, 불사에 싫증난 동자승이 “꼬끼오” 하고 닭 울음소리를 내는 바람에 석공들이 날이 샌 줄 알고 하늘로 날아가 버려 세우지 못했다는 전설이 있다.

석조불감은 두 분의 석불이  앞뒤로 안치되어있음
실패모양 석탑
미륵전 모습
운주사 경내를 내려보며 도선국사가 불상과 불탑배치 공사를 지휘 감독했다는 바위. 불사바위 모습
마애여래불
와불로 올라 가는 길
시위불(머슴바위) 와불의 아래쪽에 있음
크기가 각각 12.7m와 10.3m로 국내 최대의 석불
북두칠성바위가 7개 있는 곳, 북두칠성 국자모양 1번 별에서 나침반으로 정북으로 와불이 위치해 있다.이 7개의 바위는 북두칠성의 밝기에 따라 크기가 각각 다르다. 밝은 별은 바위크기를 다르게 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