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5일 합천 황매산 묘산재 아래 영암사지를 둘러보았습니다.
황매산의 남쪽 기슭에 있는 절터이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정확히 모르나, 고려 현종 5년(1014)에 적연선사가 이 곳에서 83세에 입적했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홍각선사비의 조각 중에도 ‘영암사’라는 절의 이름이 보이는데, 홍각선사비가 886년에 세워졌다는 점에서 영암사의 연대를 짐작할 수 있다.
발굴을 통해 조사해본 결과, 불상을 모셨던 금당·서금당·회랑터·기타 건물터가 확인되어 당시 절의 규모를 알 수 있고, 금당은 3차례에 걸쳐 다시 지어진 것으로 밝혀졌다.(위티백과인용)
절터에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든 쌍사자석등(보물 제353호)·삼층석탑·귀부·당시의 건물 받침돌·각종 기와조각 들이 남아있다. 특히 금동여래입상(동아대박물관)은 8세기경의 것으로, 절의 창건연대를 살피는데 중요하다고함.
금당터
▲ 영암사지 뒷산은 황매산 묘산재인데 왼편 봉우리는 돛대바위라고함
'자연 및 역사.문화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진 다산 초당을 둘러보고 (0) | 2021.07.17 |
---|---|
장흥 보림사 탐방 (0) | 2021.07.15 |
마이산 탑사구경 (0) | 2020.10.30 |
구례 운조루 구경 (0) | 2020.10.26 |
구례 사성암 탐방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