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및 역사.문화 탐방

팔공산 갓바위 탐방

2017년 6월 29일 팔공산 갓바위를 탐방하고 왔습니다.



일주문 후면

버스주차장에서 금륜교를 건너 갓바위 불상을 만날수 있다.오른쪽은 선본사가 있음

석등조성을 알리는 입간판

적색표시는 석등이 세우질 자리

하단에 있는 삼성각(산신,칠성,용왕)모습

만사형통 소원성취 하십시오

삼성각의 식당에 걸려있는 좋은 글

삼성각의 벽화


만불대원탑


대웅전 불상

중단에 있는 대웅전

관봉에서 바라 본 선본사(줌인)


약사여래를 봉안한 유리보전




관봉에서 바라본 아래쪽의 약사암

관봉 석조여래좌상은 원래 그 자리에 있던 바위를 깎아서 환조(丸彫) 기법으로 조성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대부분의 불상들은 이러한 경우 환조가 아닌 마애(磨崖) 기법으로 불상을 새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환조 기법으로 불상을 조성할 경우, 불상과 대좌를 따로 만들어 조합하는 것이 상례인데, 여기서는 하나의 돌에다 새겼다는 것이 특징이다.



멀리보이는 용주암과 가까이는 용덕사 모습. 대형버스 주차장도 보임

관봉석조여래좌상


경북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 있는 통일신라의 불상. 높이 4m. 보물 제431. 관봉을 속칭 갓바위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이 불상의 머리에 마치 갓을 쓴 듯한 자연판석이 올려져 있어서 유래되었다




대구방면으로 하산하는 길

소원성취하세요(

선본사 극락전

極樂堂前滿月容(극락당전만월용) 극락세계 법당앞에 둥근달과 같은얼굴
玉毫金色照虛空(옥호금색조허공) 아미타불 금색광명 온누리에 비추이니
若人一念稱名號(약인일념칭명호) 누구든지 일념으로 아미타불 부르며는
頃刻圓成無量功(경각원성무량공) 찰나간에 무량공덕 원만하게 이루리라





극락전 불상

선본사에서 바라본 관봉(중간에 물자수송용 케이블이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