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및 역사.문화 탐방

낙동강의 발원지 황지못을 확인하다

2015년 6월 7일 오전에 태백산을 등산하고 오후 늦게 낙동강의 발원지 황지못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에 도착했다. 해발 7백 미터의 높은 고지대에 위치한 태백시 중심지에 위치한 이 연못은 항상 섭씨15도를 유지하며 가뭄과 장마에도 변함없이 하루 약 5천여톤의 용출수를 쉴 새 없이 뿜어내고 있다. 여기에서 나온 물은 동점동 구문소를 지나 남쪽으로 흘러 13백리의 낙동강 물길을 이루며 영남지역 주민들의 식수와 농·공업용수 등으로 요긴하게 사용되는 천혜의 물자원이다. 상지,중지,하지 등 세 개의 연못으로 연결되어 나뉘어지고, 원천은 상지 남측에 깊이를 알 수 없는 샘터에서 비롯된다. 청정의 투명한 에머럴드 빛을 발산하는 아름다운 연못이다.담아 온 사진을 보시지요.

 

물이 솟구치는 황지의 상지 모습

 

전설의 안내석 앞에서

물이 솟구치는 황지의 상지 모습

 

 

 

 

 

황지연못의 전설

고지도를 비롯한 동국여지승람, 택리지 등 옛 문헌에 의하면 낙동강의 발원지로서 옛 신라문화와 가야의 번영을 이룩한 1300리 낙동강을 오늘도 쉼없이 흘려 보내는 것이다. 또한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낙동강의 근원으로서 관아에서 제전을 두어 가물 때는 기우제를 올렸다"고 기록된 이 못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전설에 의 하면 이 못엔 원래 황씨가의 옛터로서 주인 황씨는 맣은 재산에 풍족하게 살았으나 돈에 인색하기 짝이 없는 수전노 노랭이였다. 어느 봄날 황부자는 외양간에서 쇠똥을 쳐내고 있었는데 옷차림이 남루한 노승이 시주를 청했다. 황부자는 시주하기를 거절했으나 노승은 물러나지 않고 거듭 염불을 외며 시주를 청했다. 이에 그만 화가 치민 황부자는 쇠똥을 한가래 퍼서 시주바랑에 넣어주며 "이거나 받아가라"고 하였다. 노승은 조금도 노하지 않고 공손히 인사하고 돌아가는데 마침 아이를 업고 방아를 찧던 며느리가 이를 보고 부끄러히여겨 시아버지 몰래 자기가 찧은 쌀 한바가지를 퍼내어 노승에게 시주해올리며 시아버지의 죄를 용서빌었으나 노승은 며느리에게 말하기를 "이 집은 이미 운이 다 하였으니 아기를 업고 속히 소승의 뒤를 따라오시오. 어떠한 일이 일어나도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마시오"라고 일러주었다. 이에 며느리는 곧 집을 나서 송이재를 넘어 구사리 산마루에 이르렀을 때 뇌성벽력과 땅이 갈라지는 듯한 소리에 깜짝 놀라 노승의 당부를 잊고 뒤를 돌아보는 순간 그 자리에서 돌이 되어버렸고, 황부자의 집은 땅 밑으로 꺼져내려가 간 곳 없고 집터는 큰 연못으로 변하였다 

지금도 삼척군 도계읍 구사리 산마루에는 황지쪽을 뒤돌아보며 아기를 업은채 서있는 돌미륵이 있고 함께 따라간 강아지도 돌이 되어 그 앞에 있다. 또한 그 때 집터는 지금의 상지이고, 방아간 자리가 중지, 변소터가 하지로 변했다하며 뇌성벽력과 함께 변해버린 연못(집터)에서 유래된 지명이 황지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