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는 음력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고 중순에 들면 중 동지(銅至)며 그음께 들면 노동지라고 하는데, 이는 동지가 드는 시기에 따라 달리 부르는 말이라 전해오고 있다. 동지의 유래를 살펴보면 옛사람들은 이날을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경사스럽게 여겨 오래오래 속설로 삼아왔다.
이것은 동지(冬至)날을 신년(新年)이 시작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고대의 유풍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통사회에서는 흔히 동지(冬至)날을 ‘작은 설’이라하여 설 다음가는 경사스러운 날로 생각들을 해왔다고 한다. 그래서 옛말에 ‘동지가 지나야 한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전해져 내려오게된 유래라 한다. 또는 동짓날 팥죽을 먹는 이유로는 우리 조상들은 팥죽이 사악한 기운을 쫓아내는 축귀(逐鬼)기능이 있다고 보아왔으며, 그래서 동짓날 집 벽과 기둥 등지에 팥죽을 바른 까닭도 그런 이유에서 생겨났다 한다.
또 초순에 동지(洞至)가 들면 그해는 애기동지라 하여 일반가정에서는 팥죽을 끓이지 않고 절에가서 팥죽을 먹고 돌아오는 풍습도 있다고 전해 오고있다. 옛 말에 ‘잡귀가 팥을 두려워하여 팥죽을 쑤어 물리친 것이다’라는 사설의 기록이있다.
즉 팥은 붉은색으로 양(陽)을 상징함으로써 음(陰)의 속성을 가지는 역귀나 잡기를 물리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다.
그래서 경상도 지방에서는 팥죽을쑤어 삼신, 성주께 빌고 모든 병을 막는다고 하여 솔잎으로 팥죽을 사방에 뿌린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그런가 하면 경기도 지방에서는 팥죽으로 사당에 차례를 지낸 후 방을 비롯 집안 여러 곳에 팥죽 한 그릇씩 떠놓기도 한다는 것.
그런가하면 각 지방에 따라서는 전염병이 유행할 때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전해왔다.
그리고 정분이 두터웠던 사람끼리는 동지(冬至)를 맞으면 팥죽과 더불어 책력(冊曆)을 선물하던 옛 풍속도 있었다고 전한다.
이리하여 기축년(己丑年)도 10여일을 남겨두고 동지(冬至)를 맞아 올해 모든 액운 다 쫓아버리고 새로운 한해를 맞이하기 위해 얼마남지 않고, 추운 12월을 잘 마무리한 후 다가오는 경인년(庚寅)새해에는 더 건강하시고 풍요로우시며 온 가정이 복 많이 받으시기를 기원합니다
다음 사진은 동짓날 마산시 구산면 유산리에 있는 법지사를 찾아 불자들의 동지 기도회 모습도 보고 동지팥죽을 먹고 경내의 여러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왔습니다.
공양을 위해 팥을 2말 6되를 삶아 팥죽을 쑤었다고 한다. 나는 너무나 맛있어 두그릇이나 먹었다.부처님 덕에 동지팥죽을 배불려 먹었다고 생각하니 감사할 뿐이다.
법지사에 있는 납골묘
이 납골묘는 마산시 허가 제1호로 등록된 것임
범종 잍에 공양되어 있는 팥죽
동지기도를 마치고 내려오는 보살님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십갑자 연도별 일람표 (0) | 2010.01.10 |
---|---|
경인년(庚寅年)에는 만사형통하시기 바랍니다 (0) | 2009.12.31 |
줄탁동시=줄탁동기 [啐啄同機] (0) | 2009.10.22 |
[스크랩] 무척 유식하시네요 !!!!!!!!!! (0) | 2009.10.10 |
돈으로 살 수 없는 8가지 (0) | 2009.10.07 |